SDGs & ESG 국제환경연구원
【칼럼–이규철 원장 - 중요 과제 대응 상황과 SDGsㆍESG wash
환경ㆍ사회의 중요성과 재무의 중요성, 어느 관점에의 공시라도 특정한 중요성(materiality)에 관하여 적절하게 과제에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경ㆍ사회 중요성 대응 상황의 설명
환경ㆍ사회의 중요성(materiality)에 관해서는 기업활동의 환경ㆍ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대처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촉진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공급망 실사(DD)의 실시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유익하다. 긍정적인 영향의 특정에 대해서는 SDGs임팩트 관리의 실시상황을 설명하는 것을 고려한다.
◇ 재무중요성에 대응 상황의 설명
재무의 중요성(materiality)에 관해서는 기업가치 창조 프로세스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과제에 관하여 적절하게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을 책정하고, 실시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에도 재무의 영향뿐만 아니라 인적자본과 지적자본 등 무형자산의 영향을 설명하는 것이 유익하다.
◇ SDGsㆍESG의 대응ㆍ활용상황 설명
재무의 중요성(materiality) 관점에서는 SDGsㆍESG 규칙을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자사가 효과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환경ㆍ사회의 중요성(materiality) 관점에서도 SDGsㆍESG 규칙에 준거하여 기업활동의 환경ㆍ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대처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촉진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것이 ‘SDGsㆍESG 워시(wash)’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 SDGs wash란 무엇인가?
SDGs wash란 실태가 수반되지 않는데 SDGs에 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Wash란 1980년대 서구를 중심으로 사용되던 겉모습만 친환경적이라고 가장한 기업을 비판하는 ‘Green wash(그린워시)’라는 조어에서 비롯되었다. 이것은 친환경적이라는 의미를 가진 ‘Green(그린)’과 속임수의 의미를 가진 ‘White wash’(화이트 워시)를 곱한 것이다. 예컨대, 근거가 없는데도 그 기업이 발매한 상품에 ‘에너지 절약’ 등이라고 기재하고 있거나 애매한 표현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 ESG wash란 무엇인가?
ESG wash란 최근 환경, 사회, 거버넌스를 고려하는 ESG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ESG 투자는 경제적 회수 획득을 전제로 하는 투자기법이지만, 그 확대는 사회과제 개선에도 기여한다.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이익이 있는 반면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ESG워시다.
이규철/법학박사(상법)
∙ SDGs&ESG, AI·챗GPT 코치 및 강사
∙ 100세대학 크리에이터, ISO 45001 심사원
∙ 칼럼니스트 : SDGs·ESG, 100세대학, AI교과서
∙ 저서 : 생성AI와 챗GPT교과서, SDGs·ESG경영전략 실무서,
글로벌 MBA to CEO, 리더의 필승전략, 행복디자인 매뉴얼 등
∙ 일본(와세다대), 중국(복단대·화동정법대)유학
URL 복사
아래의 URL을 전체 선택하여 복사하세요.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